컨테이너 기술/Docker 적용

Docker를 통하여 Mongodb 구축하기

__James__ 2022. 7. 16. 23:47
반응형

https://jooy34.tistory.com/9?category=940198 

 

Mysql을 docker를 통해 구축하고 토이프로젝트에 적용해보기(1)

docker hub에 들어가 mysql이미지를 확인한다. docker pull mysql명령어 뒤에 tag에 버전을 지정해주지않으면 최신버전의 이미지를 docker hub에서 받아옵니다. docker pull mysql 이미지를 받아온 것을 docker..

jooy34.tistory.com

저번에 docker를 통하여 mysql을 구축한 경험으로 인하여 좀더 수월하게 구축을 할 수 있었습니다.

 

https://hub.docker.com/_/mongo

 

Mongo - Official Image | Docker Hub

We and third parties use cookies or similar technologies ("Cookies") as described below to collect and process personal data, such as your IP address or browser information. You can learn more about how this site uses Cookies by reading our privacy policy

hub.docker.com

제일 먼저 docker hub에 들어가서 이미지를 확인했습니다.

 

docker pull mongo

docker pull mongo를 통하여 최신의 MongoDB이미지를 받아오고 

docker images를 통해 받아온 이미지를 확인 해 봅니다

docker images

받아온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받아온 이미지를 가지고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 해 보겠습니다.

docker run --name mongodb -v /data/node/mongodata/:/data/db -d -p 27017:27017 mongo

위의 명령어는
--name을 통해 컨테이너 이름을 정하고

-v를 통해 공유폴더 설정을하고

-d옵션을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킨다음

-p옵션을 통해 포트포워딩을 해줬습니다.

 

이번에는 mysql구축할 때와 다르게 공유폴더 설정을 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컨테이너를 삭제할때 거기에 들어있는 정보도 삭제되어 복구할 수 없는데 복구 하는것 까지 고려하여 이번에는 설정을 해 주었습니다.

docker ps

docker ps 명령어로 지금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잘 실행 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행 시킨 컨테이너에 접속해보겠습니다.

docker exec -it mongodb bash

접속이 잘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에 있는 Mongodb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잘 구축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